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청년희망적금 중복가입,공무원, 알바, 대학생, 군인, 퇴사

by sense of beauty 2023. 3. 18.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립을 위해 일정 부분의 정부 지원금을 주는 적금입니다. 월 70만 원을 5년 동안 적금을 넣을 경우 5천만 원을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조건에 해당되는 청년들은 꼭 가입하여 목돈 마련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궁금한 점.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지원해 나가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가입 조건은 어떻게 되나요?

 만 19세에서 34세(병역 이행기간이 있을 경우 6년까지 제외)의 청년 중 총 급여 7500만 원 이하(국세청 소득 신고가 있는 자에 한함)에 가구 소득 중위 180% 이하인 경우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총 급여 60%까지는 국가 기여금까지 지급됩니다만, 6000만 원 이상 7500만 원 이하인 경우는 비과세 혜택만 받을 수 있습니다.

가구 소득 중위 180% 이하
[가구 소득 중위 180% 이하]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별 기여금 지급 구조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별 기여금 지급 구조]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가입이 가능한가요?

 청년도약계좌와 사업 목적이 유사한 청년희망적금의 경우에는 순차가입 (만기 후 가입)이 가능합니다. 또, 청년희망적금의 특별중도해지 요건에 해당하는 중도해지의 경우에는 저축 장려금 지급과 비과세 적용이 가능합니다.

 그 외의 청년내일저축계좌, 복지 목적의 지자체 지원 상품은 동시 가입 가능합니다.

 고용상품 연계를 통한 중소기업 재직자 지원 강화를 위한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고용지원 목적의 지자체 지원 상품 또한 동시 가입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기간은 어떻게 되나요?

 6월 가입을 시작하여 12월까지 매월 신청받을 예정입니다. 매월 2주간 가입 신청 후 2~3주 내 비대면 심사(개인소득 심사와 가구소득 심사)를 완료하여 결과를 통보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가입 일로부터 1년 주기로 유지심사를 통해 변경된 개인소득 심사를 할 예정입니다. 

 

전년도 소득 확인이 어려운 경우는 어떻게 하나요?

 전년도 소득 확인이 어려운 경우는 전전 연도 과세기간 소득을 활용하여 가입이 가능합니다.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은 2023년 7월~8월 경 확정될 예정이니 그 이 전에 가입을 하는 경우 전전 연도 과세기간 소득을 적용합니다.

 

가입 이후 34세가 넘으면 어떡하나요?

 가입 당시 연령 조건에 해당되어 가입한 경우에는 해지하지 않는 한 만기까지 유지됩니다.

 

가입 이후 소득이 변동되면 정부 기여금은 어떻게 되나요?

 가입 일로부터 1년 주기로 유지심사를 하여 정부기여금 지급 여부와 지급 규모가 조정됩니다. 가구원 변동등(이혼, 독립, 사망 등) 가입자 개인 소득과 무관한 사유로 기여금 지급이 중단될 수 있으므로 가구소득은 유지심사에서 제외합니다.

 유지심사 결과 총소득이 6000만 원을 초과하면 다음 유지심사 시까지 정부기여금 지급이 중단됩니다. 다음 유지심사에서 6000만 원 이하가 되면 정부기여금이 재지급됩니다. 

 * 비과세 혜택은 가입 시에 개인소득과 가구소득이 충족된다면 만기 시까지 유지됩니다.

 

5년 만기를 채우지 못하고 중도 해지를 할 경우는 어떻게 되나요?

 해지 사유가 특별중도해지 요건에 해당된다면 본인 납입금과 정부기여금 지급과 비과세 혜택이 그대로 주어집니다.

 

 *특별중도해지 요건

  • 가입자의 사망. 해외 이주
  • 가입자의 퇴직
  • 사업장의 폐업
  • 천재지변
  •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 생애 최초 주택 구입

 

공무원, 아르바이트, 군인은 가입이 가능한가요?

 국세청에 소득 신고가 된 경우는 가입이 가능할 것입니다. 군인의 경우에는 장병내일준비적금과 같이 비슷한 국가 지원금이 있어서 해당되지 않을 것이며, 아르바이트의 경우에도 세금 신고가 된 경우에는 가입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공무원의 경우도 해당 소득구간이라면 가입이 가능할 것입니다.

 

 

 

 

댓글